강남세브란스 유방암클리닉 정준 교수팀, 595명 유방암 환자 장기추적 결과 발표
유방암 종류 중 암세포가 꾸준히 에스트로겐(생식주기에 영향을 주는 여성호르몬)과 반응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유방암 수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항호르몬치료를 받아야만 5년 이후 유방암 재발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암클리닉 정준·안성귀 교수팀은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유방암 수술을 시행한 595명의 환자들을 장기추적 관찰해 얻어낸 결과를 미국공공과학도서관 발행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에 최근 발표했다.
정 교수팀은 595명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수술 환자를 총 11.7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98명(16.4%)이 조기재발(수술 후 5년 이내 재발), 58명(9.7%)이 지연재발(수술 후 5년 이후 재발), 439명(73.9%)이 재발 없음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정 교수팀은 보다 세밀한 다변량분석을 통해 높은 림프절병기(N0 對 N2 오즈비(odds ratio) 3.189 ; N0 對 N3 오즈비 9.948), 높은 조직학적 등급(grade1 對 grade2 오즈비 3.896 ; grade1 對 grade3 오즈비 5.945), 35세 이하 연령(오즈비 0.295), 항호르몬치료를 받지 않음(오즈비 0.285) 같은 예후인자가 5년 이내 조기재발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분석해냈다.
이와 반대로 5년 이후 지연재발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로는 항호르몬치료 실시여부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조기재발에서는 림프절병기가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로 떠올랐으나 지연재발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흥미로운 사실도 밝혔다.
또 지연재발 환자군과 조기재발 환자군을 비교했을때 높은 림프절병기(N0 對 N3 오즈비 16.779)와 높은 조직학적 등급(grade1 對 grade3 오즈비 18.111)을 가졌을 때 조기재발 가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정준 교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유방암 병기와 관계없이 5년 이후 지연재발 위험성을 갖는다는 사실과 항호르몬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이 5년 이후 지연재발 위험성이 높아짐을 알게 됐다. 반면 유방암 병기는 5년 이내 조기재발에 대한 위험인자로 분석됐으나 5년 이후 지연재발에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며 “이는 5년 이후의 지연재발에 유방암 병기보다 다른 종양생물학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추측하게 해주는 결과로 5년 이후 지연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선 꾸준히 항호르몬 약제를 복용하고 전문의 지도에 따라 정기적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공정인, 박기흥 서기관 선정 (0) | 2013.05.29 |
---|---|
만성골수성백혈병 ‘글리벡’ 중단 가능 (0) | 2013.05.29 |
면역력 약한 상태라면 침술치료에도 ‘주의’ (0) | 2013.05.29 |
살인진드기 무엇이 궁금하세요? SFTS 바이러스의 모든 것 (0) | 2013.05.29 |
병원계 “이대로 가면 말라 죽는다”…병원유지도 걱정 (0) | 2013.05.29 |
자궁근종제거술 부작용 획기적 개선, 새 수술법 개발 (0) | 2013.05.28 |
임종기 환자 연명의료, 83%사망 1주일 전 결정 (0) | 2013.05.28 |
말기암환자 보호자들, 부담 심각 (0) | 2013.05.27 |
마취제공통메커니즘 규명…뇌 정보 흐름 분석 (0) | 2013.05.27 |
대구가톨릭대병원 장기이식센터, 췌장 이식 연속 성공 (0) | 201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