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

40대 이상 남성 3명 중 1명 ‘남성 갱년기’

40대 이상 중년 남성 3명 중 1명은 평상시 각종 남성 갱년기 증상을 느끼고 있으며, 10명 중 1명꼴로는 실제로 남성 갱년기 치료가 시급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2-2.jpg

최근 중년 남성들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와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성인병의 증가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남성 갱년기에 대한 관심과 주의도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경윤수 교수팀이 지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0대 이상의 남성 수진자 중 1,822명을 대상으로 남성 갱년기 설문을 시행한 결과, 630명(34.5%)이 남성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수치를 측정한 결과 1,822명 중 187명인 10.3%의 중년 남성들이 치료가 필요한 수치인 3.0 ng/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호르몬 보충요법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 교수팀은 성기능 증상 및 우울증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남성 갱년기 증상을 설문 조사했다.

그 결과 40대의 30.1%, 50대의 33.5%, 60대의 42.5%, 70대의 33.6%, 80대의 53.8%가 각종 증상을 호소하는 등 남성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이들이 중장년 남성들의 34.5%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 갱년기 증후군’이란 남성 호르몬 수치가 30대에 정점에 도달한 이후 점차 감소하면서 50~70 대 남성에게 신체 전반의 장기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다양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성욕 감소나 발기 부전 등의 성기능 장애가 가장 흔한 증상이며 그 외에도 공간 인지능력 저하, 의욕 저하, 불안, 우울 등의 심신 증상, 복부를 중심으로 하는 체지방의 증가와 체형 변화, 피부 노화 등의 근골격 증상과 함께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 이번 조사에서는 설문과 함께 남성 갱년기 치료의 객관적 기준을 확보하기 위한 혈액검사도 함께 진행됐고,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호르몬 수치가 점차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치료를 꼭 필요로 하는 정상 수치 이하도 10.3%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수치가 3.0 ng/ml 이하인 경우 뼈의 경도 약화, 체지방 감소 및 근육량의 감소, 성 생활의 만족도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 전반적인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이같이 남성 갱년기 증상과 함께 남성 호르몬 수치가 정상 이하로 떨어졌다면 전립선비대증, 암 등의 전립선 질환자를 제외하고는 호르몬 보충요법 등의 치료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이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남성 호르몬 수치와 설문지를 통한 성생활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흥미로운 사실도 찾을 수 있었다.

조사 대상인 1,822명 중 남성 호르몬이 치료가 요구되는 정도로 확실하게 낮은 경우는 187명이었지만 그 중 139명(74.3%)이 성생활에는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한국 사회의 통념상 성생활 문제에 대해 외부에 노출을 기피하는 경향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며, 이러한 현상은 성생활과 관련하여 의학적인 평가와 진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의료진은 밝혔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경윤수 교수는 “남성 호르몬의 감소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증상이다. 하지만 꾸준한 자기 관리를 통해 그 속도를 얼마든지 늦출 수 있으며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호르몬의 변화를 주시하고, 적절한 시기에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다면 남성 호르몬 감소에 따른 삶의 질 저하를 예방하여 더욱 윤택한 삶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호르몬 치료는 일부 장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치료 방법이다. 따라서 남성 갱년기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진료 및 치료에 있어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수적이며 또한 전신적이고 광범위한 신체검사 이후에 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며 남성 갱년기 질환의 치료에 있어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