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안전사용 포스터-안내문 제작-배포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가 의료전문가와 일반소비자에게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및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공동으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안전 사용을 위한 포스터와 안내문을 제작‧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스터와 안내문의 주요 내용은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접종 효과와 대상 ▲접종 전‧후 유의사항 ▲해외 안전성 정보 등 국민들이 궁금해 하는 질의‧응답 등이다.
◆접종 효과와 대상 및 접종 전·후 유의사항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은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9~26세 여성이 주요 접종 대상이다.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은 의사의 처방, 지도·감독에 따라 사용(접종)되는 전문의약품이다.
접종 전에는 의사와 상담하여 접종이 가능한 건강상태인지 확인하고, 백신의 효과와 유해사례(이상반응)에 대하여 상의한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종 후에는 의료기관에서 약 30분간 휴식을 취하면서 알레르기 반응 등 유해사례(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해사례(이상반응) 발생 시 대처요령
드물지만 백신 접종 후 접종 부위의 통증, 가려움증, 발열 등 유해사례(이상반응)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전화: 1644-6223)에 신고하면 된다.
◆최근 해외 안전성 정보 등
최근 일본에서 발생한 유해사례(이상반응)는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접종과의 인과관계가 확립되지 않은 사례이며, 현재까지 우리나라, 일본, 미국, 유럽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위해사례를 원인으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판매·사용을 중단한 국가는 없다.
WHO는 올해 6월 안전성을 재확인한 결과 안전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식약처는 “국민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포스터와 안내물을 전국 보건소(250여개), 보건지소(1,300여개) 및 병‧의원(8,000여개)에 배포하며, 앞으로도 백신의 안전사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질병관리본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칼럼/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생들도 척추측만증?-성장 장애 원인 (0) | 2013.08.30 |
---|---|
20대와 30대 다이어트, 달라야 효과 높다? (0) | 2013.08.29 |
감기로 오해하기 쉬운 ‘바이러스 수막염’이란? 종류와 예방법은? (0) | 2013.08.29 |
‘탈모 피할 수 없다면 정복하라’…증상별 탈모공략 치료방법은 (0) | 2013.08.29 |
[원더풀 마마]‘투정 커플’ 정겨운-정유미, 닭살 부부의 샛별 인증! (0) | 2013.08.28 |
길어진 여름 높아진 습도로 여름 건강 ‘적신호’ (0) | 2013.08.26 |
출산 후 튼살, 언제 치료하는 게 좋을까 (0) | 2013.08.24 |
라식-라섹 이런 경우 수술 가능할까? (0) | 2013.08.23 |
60세 이상 수면무호흡증 뇌졸중 원인되기도 (0) | 2013.08.23 |
‘알 수 없는 두통’ 목 관절 이상 확인 해봐야 (0) | 201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