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

조울병 5년새 20대 최다증가…비직장근로자 2배 많아

70대 이상 남성 176명 가장 많아

 

최근 5년새 조울병 환자 중 20대가 가장 많이 증가했고, 비직장근로자가 직장근로자보다 2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조울병’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07년 4만6,000명에서 2011년 5만8,000명으로 증가했다. 

매해 진료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1.4배 많았다.

최근 5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 증가 추이를 보면 남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진료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여성은 20대에 대폭 증가하고 이후 유지되는 추세를 보였다.

 


        (표)최근 5년 동안(2007~2011년) 인구 10만명당 ‘조울병’ 진료환자수 
1-40.jpg
1-40.jpg

최근 5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20대 여성으로 연평균 8.1%, 그 뒤를 이어 20대 남성이 7.9%, 10대 여성이 6.5% 증가했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70세 이상 남성이 17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0대 여성 175명, 40세 여성 174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1-41.jpg

경제활동연령을 고려하여 20~60대 진료환자를 성별로 나누어 ‘직장근로자’와 ‘비(非)직장근로자’로 구분해 분석해 본 결과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여성 비(非)직장근로자 220명 > 남성 비(非)직장근로자 172명 > 여성 직장근로자 119명 > 남성 직장근로자 92명 순(順)으로 조울병으로 인한 진료환자가 ‘비(非)직장근로자’가 ‘직장근로자’보다 약 2배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직장근로자’의 진료환자는 성별에 따라 남성은 50~60대, 여성은 30대가 가장 많았고, ‘비(非)직장근로자’의 진료환자는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가 가장 많았다.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명당 ‘직장근로자’의 진료환자는 20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비(非)직장근로자’의 진료환자는 20대 > 40대 > 30대 순(順)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정 교수는 “20대 직장근로자의 경우 사회초년생으로서 정서적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며, 직장 환경이 예전에 비해 좀 더 경쟁적으로 변한 사회적 상황이 반영되어 20대 직장근로자의 진료환자가 가장 많이 증가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울병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550억원에서 2011년 770억원으로 1.4배 증가했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1년 급여비는 547억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