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혜택 10배 이상 세대는 분석대상의 4.5%인 68만 5천 세대
- 2012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현황 분석 결과 발표 -
- 2012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현황 분석 결과 발표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2012년 1년간 건강보험 가입자의 보험료부담과 의료이용을 연계하여 분석한「2012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현황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분석결과 자격변동 없이 건강보험 자격을 유지한 세대(분석대상)의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88 586원 급여비는 149 896원으로 평균 급여혜택은 납부 보험료의 1.7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하위계층(1분위 20%)은 세대당 월평균 21 700원의 보험료를 부담하고 110 135원의 급여를 받아 5.1배의 혜택을 받았으며 상위계층(5분위 20%)은 세대당 월평균 206 024원의 보험료를 부담 222 086원의 급여를 받아 1.1배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최하위 계층과 최상위 계층의 보험료부담 차이는 9.5배 급여혜택은 2배의 차이를 보였다.
분석대상 지역세대의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81 661원 급여비는 126 148원으로 1.5배의 급여혜택을 받았다.
보험료 하위계층(1분위 20%)의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10 922원 급여비는 99 441원으로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혜택은 9.1배로 나타났다.
보험료 최하위 계층(10 922원)과 최상위 계층(201 896원)의 차이는 18.5배였으나 급여비 취하위 계층(99 441원)과 취상위 계층(176 815원)의 차이는 1.8배 수준이었다.
보험료 상위 20%(5분위) 구간을 제외한 4분위 이하 계층에서는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혜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직장가입자의 가입자당 월평균 보험료는 93 290원 급여비는 166 029원으로 1.8배의 급여혜택을 받았다.
보험료 하위계층(1분위 20%)의 가입자당 월평균 보험료는 29 022원 급여비는 117 400원으로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혜택은 4.1배로 나타났다.
보험료 최하위 계층(29 022원)과 최상위 계층(208 828원)의 차이는 7.2배였으나 급여비 최하위 계층(117 400원)과 취상위 계층(252 839원)의 차이는 2.2배를 나타냈다.
모든 계층에서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혜택이 많았다.
전체 적용인구(3 692만명) 1인당 월평균 보험료는 36 601원 급여비는 61 934원으로 1.7배의 급여혜택을 받았다.
보험료 하위계층(1분위 20%)의 1인당 월평균 보험료는 14 233원 급여비는 61 378원으로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혜택은 4.3배로 나타났다.
보험료 최하위 계층(14 233원)과 최상위 계층(68 864원) 차이는 4.8배였으나 급여비 최하위 계층(61 378원)과 최상위 계층(68 857원)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2012년 한해 동안 자격변동이 없는 자격유지자 전체 1 525만 5천세대 중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비가 적은 세대는 822만 6천세대로 53.9%를 점유하였다.
보험료보다 급여비가 1~2배 많은 세대는 280만 4천세대로 전체의 18.4%이며 보험료보다 급여비가 5배 이상 많은 세대는 161만 4천세대로 전체의 10.6%이고 그 중에서 68만 5천 세대는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혜택이 10배 이상이었다.
지역세대 기준으로 보험료 이내로 급여비를 지출한 세대는 355만 8천 세대로 전체의 57.7%이고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가 10배 이상인 세대는 35만 6천 세대였다.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보험료 이내로 급여비를 지출한 가입자는 466만 7천명으로 전체의 51.4%이고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가 10배 이상인 직장가입자는 32만 9천명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지역세대의 월평균 보험료는 서울이 96 323원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경기(91 338원)이며 전남은 52 323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은 보험료를 부담하였다. 직장가입자는 울산이 120 566원을 부담하여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서울(104 988원)이며 제주는 73 962원으로 가장 적은 보험료를 부담하였다.
급여비는 지역세대의 경우 전남이 161 535원으로 가장 많았고(보험료부담 대비 급여혜택 3.1배) 그 다음은 전북(145 376원)이며 서울은 115 285원으로 가장 적었다. 직장가입자는 전남이 194 231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울산(194 000원)이며 강원이 153 797원으로 가장 적었다.
시군구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비율은 전남 신안군이 지역세대 5.8배 직장가입자 3.4배로 모두 최고치를 보였다.
지역세대와 직장가입자 모두에서 보험료부담 보다 급여비가 적은 곳은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으로 나타났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 참조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0054173700
'단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성모병원 ‘뇌전증’ 바로알기 건강강좌 개최 (0) | 2013.06.17 |
---|---|
제1기 청소년 금연서포터즈 및 제7기 대학생 금연서포터즈 모집 (0) | 2013.06.17 |
세브란스병원, 위암 건강강좌 개최 (0) | 2013.06.17 |
공공의료 개념과 활동방법론 교육 개최 (0) | 2013.06.17 |
한·이스라엘 글로벌 기술마케팅 협력 ‘스타트’ (0) | 2013.06.17 |
굿피플 홍보대사 박윤신 아나운서와 하만택 교수, 직접 의료봉사 나서 (0) | 2013.06.16 |
명지병원, ‘치매관리의 민관협력 모델 찾기’ 심포지엄 (0) | 2013.06.15 |
지역병원 의료기술, 수도권 병원에 뒤지지 않아 (0) | 2013.06.15 |
한방병원 인증기준 마련 위한 공청회 개최 (0) | 2013.06.15 |
S-중앙병원, ‘제 4회 골드링 캠페인’ 제주 건강강좌 (0) | 201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