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장형우 전임의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 허쉬(Hershey)에서 개최된 제 9회 국제 소아기계순환보조 및 심폐기학회(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diatric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Systems and Cardiopulmonary Bypass)에서 젊은 연구자상(William S. Pierce 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장형우 전임의는 ‘Five-year Experience With Mini-Volume Priming In Infants ≤5kg : Safety of Significantly Less Transfusion Volume’ 주제의 구연발표를 통해 지난 5년간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흉부외과와 체외순환실이 소아 선천성 심장병 수술에서 심폐기 사용을 위해 필요한 수혈의 양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결과를 정리해서 발표했다.
선천성 심장병이란 출생 시에 존재하는 심장의 기형 및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흔히 선천성 심장 기형을 말한다.
대부분의 선천성 심장병 수술은 심장내부의 교정이 필요하므로 개심술로 진행이 되어야 하며, 정확한 교정을 위해서 수술 도중 움직이지 않고 심장 속이 텅 비어있어야 한다.
그런데 심장이 단 5분만 정지되어도 생명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수술 도중 심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동안 인공심폐기라는 기계가 심장과 폐의 구실을 대신하게 된다.
이때 인공심폐기를 이용하여 환아의 몸 밖으로 혈액을 뽑아내 산소와 혼합하여 다시 환아의 몸으로 주입하는 체외 순환이 필요한데 신생아의 경우에는 체내 혈액량이 매우 적으므로 체외순환을 하는 동안 혈액이 지나치게 희석되어 환아가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혈이 필수적이다.
수술 중 수혈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낮은 혈색소농도로 인한 신경학적 후유증이나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날 장형우 전임의의 발표로 서울대어린이병원 심장수술팀은 심폐기 사용시 필요한 수혈량을 기존 방법의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었으며, 일부 환자군에서는 전혀 수혈하지 않고 안전하게 심장수술을 마칠 수 있음을 증명했다.
특히 이런 기법은 수술의 난이도나 심기형의 복잡성과는 상관없이 훌륭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이 주제에 관해 지도한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웅한 교수는 “이는 앞으로 안전한 범위 내에서 수혈량을 최소화하거나 무수혈 심장수술이 가능해져 수혈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시기가 한층 가까이 왔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며 “서울대병원은 이 부분에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어린이와 청소년 심장병 환자들이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1369390524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의대 남석우 교수, 환경기술개발사업 최우수성과 선정 (0) | 2013.05.29 |
---|---|
분당서울대병원 유재민 의공파트장, 의료기기위원회 위원 위촉 (0) | 2013.05.27 |
경희대의대 임천규 교수 대한신장학회 신임회장 선임 (0) | 2013.05.26 |
성균관의대 임효근 교수 대한초음파의학회 회장 취임 (0) | 2013.05.26 |
고대의대 박대원 교수, 대한화학요법학회 학회지 인용 장려상 수상 (0) | 2013.05.26 |
울산의대 우준희 교수, 대한화학요법학회 신임 회장 선출 (0) | 2013.05.26 |
질내균총과 자궁경부암 상관관계 규명 (0) | 2013.05.26 |
이대목동병원 박기덕 교수,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차기 회장 선임 (0) | 2013.05.26 |
이대목동병원 이승남 교수, 한국임상암학회 신임회장 취임 (0) | 2013.05.26 |
[부고]해운대백병원 주영돈 암통합진료센터장 빙부상 (0) | 201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