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어린이집, 공공시설 등에서 손씻기, 환경위생 관리 철저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39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최근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의 여름철 개인위생 준수를 각별히 당부했다.
2013년도 제21주(5.19~5.25) 참여의료기관의 전체 외래환자수 1,000명당 수족구병의사환자수가 10.8명으로, 이는 2012년도 제21주 분율 4.8명(/1,000)에 비해 높은 수치다.
수족구병의사환자수는 임상증상만으로 수족구병이라 의심되는 의심환자수며,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은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이다.
특히 만 5세 이하의 영‧유아가 92.1%에 해당돼(만 2세 이하 60.1%) 어린이집 등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 수족구병 기관당 평균 환자수(명)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신고기관수
** 수족구병 기관당 평균 환자수(명)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신고기관수
수족구병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으로, 어른과 아이 모두 손을 자주 씻고, 아이들의 손이 자주 닿는 장남감 등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에서 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만일 수족구병이 감염된 영·유아가 수일 내에 사지위약(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는 증상) 등 급성 이완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조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또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 예방홍보수칙이 담긴 홍보물 18만부(포스터 8만부, 리플렛 10만부)를 지자체에 배포하여 관내 수족구병 예방 관리에 철저를 기할 것을 당부하며, 수족구병 예방수칙을 제시하고 지켜줄 것을 강조했다.
한편 수족구병 표본감시 현황 및 참고자료는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72&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수족구병 예방수칙>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엄마와 아기가 함께 외출 전·후, 배변 후, 식사 전·후
-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는 아기기저귀 교체 전·후 철저히 손 씻기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의 청결(소독) 지켜주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진료를 받고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은 철저히 세탁하여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하기
'칼럼/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갈이 습관, 턱관절 질환 원인+만성 두통 발생 (0) | 2013.06.06 |
---|---|
어깨환자 80% 회전근개파열 앓아…스마트폰 및 과도한 어깨사용 운동 등 원인 (0) | 2013.06.06 |
빚더미 관광이 된 뉴질랜드 여행 패키지 상품의 실체! (0) | 2013.06.05 |
모공 작은 ‘소공녀’ 1위 구가의서 ‘수지’…아이유, 송혜교 순 (0) | 2013.06.05 |
‘원추각막’…라식∙라섹보다 안내렌즈삽입술 적합 (0) | 2013.06.05 |
조울병 원인, 예방부터 치료까지 (0) | 2013.06.02 |
담배가 일으키는 병 사망, 1년 사고사망자보다 3배 많아 (0) | 2013.05.31 |
맥주병으로 종아리 밀기, 정말 효과 있을까? (0) | 2013.05.31 |
S라인 꿈 훌라후프…허리 인대 퇴행 주의 (0) | 2013.05.30 |
척추후관절증후군을 아시나요? (0) | 201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