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김지일 교수팀 세계투석접근학회 베스트 포스터상 수상
만성신부전증 환자에게 혈액투석을 위한 동정맥루 수술 이후 발생하는 성숙부전의 정확한 예측 방법이 규명돼 눈길을 모았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관외과, 김지일, 문인성, 김영균 교수팀은 지난 2009년 11월부터 2011년 6월 사이 손목 부위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투석을 위한 혈액이 흐를 수 있는 길을 만드는 요골동맥-요골측피정맥간 동정맥루 수술을 시행한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성숙부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인자를 연구 분석했다.
분석 결과 환자 중 22%에 해당하는 17명에게 성숙부전이 발생했으며, 이들 중 96.5%가 수술 전 요골측피정맥의 확장률이 1,95배 이하였던 것을 밝혀냈다.
성숙부전이란 수술 경과가 양호하고 충분한 시간이 지났음에도 투석에 필요한 혈류가 충분히 흐르지 않거나, 혈관이 너무 가늘어 투석을 불가능 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요골측피정맥의 확장률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정맥 직경을 측정하고, 떼어내어 정맥의 윗쪽을 겸자로 잡고, 풀릴 때까지 생리식염수를 주입했을 때 측정한 정맥 크기를 비교해 계산한다.

김 교수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 있어 투석로는 생명줄과 같은 것으로, 오랜기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가혈관을 이용해 만들어주는 것이 원칙이지만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성숙부전이 발생해, 환자는 또다시 불필요한 시간을 기다리다, 재수술을 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요골측피정맥의 확장율의 크기가 여의치 않는다면 재빨리 다른 부위의 혈관을 찾아 수술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밝혔다.
만성심부전증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하고, 혈압과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는 신장 기능 문제가 생겨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피가 잘 멎지 않으며, 상처도 잘 아물지 않은 전신적인 문제로 혈액투석을 받거나, 신장이식을 해야 한다.
이중 혈액투석이란 우리 몸에서 일부의 혈액을 뽑아 노폐물을 걸러 폐기하고, 깨끗해진 혈액을 다시 몸 속에 주입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기능을 상실한 신장을 대신해 기계를 이용, 우리 몸속의 혈액을 깨끗하게 정화 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기계를 이용해 혈액을 거르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혈액이 드나들어야 하는데, 정맥은 피부 근처에 있어 접근이 쉽지만 낮은 압력 때문에 충분한 혈류의 확보가 힘들다. 따라서 환자에게 투석을 위한 길을 만들어 준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효과적인 투석이 이뤄지기 위해 적절한 투석로가 필수적으로. 그 중 말단부위의 요골동맥과 요골측피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는 수술이 쉽고 내구성이 좋으며, 감염 등의 합병증이 적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혈액 투석로다.
또 투석을 위해서는 단순히 수술한 혈관에 피가 통한다고 해도 투석기를 통해 노폐물을 걸러내기에 충분한 혈액(분당 600ml 이상)이 통과해야하며, 혈관의 직경이 충분히(일반적으로 6mm정도) 커져야 동맥피가 흘러, 투석용 주사바늘이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수술이 잘되었다고 해도 성숙부전이 발생하면 다시 다른 부위에서 투석로를 찾아봐야하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하기 위해 의학계에서는 성숙부전의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위험인자인 동맥, 정맥의 크기, 환자의 연령, 성별, 당뇨, 고혈압, 투석로 수술 회수, 술 전 동맥, 정맥의 직경, 술 후 동맥과 투석로의 혈류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지만 정확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번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최근 열린 제8차 세계투석접근학회에서 50여개국 6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발표했으며, 세계적인 혈관연구자들이 제출한 105개의 포스터 가운데 으뜸으로 선정됐다.
한편 학회는 북미투석접근학회와 양대산맥을 이루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대회로, 말기신부전증 환자의 신대체 요법의 하나인 혈액투석과 관련된 이슈를 외과, 신장내과, 중재방사선과 등 다양한 의료 분야의 관계자들이 모여 최신 지견을 발표하는 장이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후두 이물감 (0) | 2013.06.04 |
---|---|
안과 개원의 연수 교육(안과 질환의 최신 지견) (0) | 2013.06.04 |
한이회(한림 이비인후과 개원의 집담회) (0) | 2013.06.04 |
충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요 잡지 초독회 (0) | 2013.06.04 |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피부과 제11회 월례세미나 (0) | 2013.06.04 |
이대목동병원, 전력난 극복 위해 절전 캠페인 (0) | 2013.06.04 |
미용, 레이저, 탈모 분야의 최신지견소개 (0) | 2013.06.04 |
2013 대한신경계질환우울증연구회 춘계학술대회 (0) | 2013.06.04 |
인천광역시의사회 2013 종합학술대회 2부 (0) | 2013.06.04 |
인천광역시의사회 2013 종합학술대회 2부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