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자외선차단제 올바른 사용정보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가 예년에 비해 여름이 일찍 시작되는 것이 예상됨에 따라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자외선차단제는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품으로 그 차단 효과는 SPF(자외선차단지수)와 PA(자외선차단등급) 표시를 통해 알 수 있다.
SPF는 자외선 B를, PA는 자외선 A를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를 나타내며, SPF는 숫자가 높을수록, PA는 +개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크다.
식약처는 자외선차단제의 올바른 선택요령, 사용방법,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식약처는 “자외선차단제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국민들이 건강하게 여름을 대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향후에도 기능성화장품 등 다양한 화장품 사용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자외선의 종류 및 역할은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79&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올바른 선택요령>
우선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자외선차단제만 표시할 수 있는 ‘기능성화장품’ 문구를 제품 포장 또는 용기에서 확인한다.
집안이나 사무실 등 실내생활을 주로 하는 경우에는 SPF15/PA+ 이상 제품을 선택한다.
야외활동이 많은 경우에는 SPF30/PA++ 이상 제품을 사용하고, 등산, 해수욕 등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는 SPF50+/PA+++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물놀이용으로는 ‘내수성’ 또는 ‘지속내수성’ 표시가 되어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권장된다.
<올바른 사용방법>
최소 외출 15분 전에 제품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양을 햇빛에 노출되는 피부에 골고루 펴 발라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귀, 목, 입술, 손, 발과 같이 얼굴이외 부위에도 꼼꼼히 발라주는 것이 좋다.
자외선차단제를 바를 수 없는 부위는 자외선차단 효과가 있는 선글라스를 끼거나 옷으로 가리고, 머리숱이 없는 사람은 모자를 쓰거나 자외선차단제를 두피에 발라 보호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차단제는 땀이나 옷에 의해 지워지므로 약 2시간 간격으로 덧발라 주는 것이 좋다.
물놀이용 제품인 경우 ‘내수성’ 표시 제품은 1시간, ‘지속내수성’ 표시 제품은 2시간 정도마다 덧발라 주어야 한다.
<사용 시 주의사항>
6개월 미만 유아는 피부가 얇고, 경우에 따라 흡수가 잘되어 외부물질에 대한 감수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어린이의 경우,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목 안쪽에 소량을 발라 알러지 발생 등 피부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차단제 사용 도중 알레르기나 피부자극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전문가의 상담을 받도록 한다.
'칼럼/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 물렸을 때, 침 바르지 마세요 (0) | 2013.06.12 |
---|---|
건초염 환자 연중 6~8월 최다…더위속 ‘주의’ (0) | 2013.06.12 |
더운 여름, 내공 9단 직장인의 내 건강 지키기 노하우 (0) | 2013.06.11 |
여름 휴가 전 예쁜 눈 만들려다 실명 위험…반영구 화장, 재료따라 심각한 부작용 유발 (0) | 2013.06.11 |
제모 후 피부에 파고드는 털, 어쩌나… (0) | 2013.06.11 |
여름 맞아 조용필 등 록페스티벌 봇물, 목 디스크 위험 (0) | 2013.06.11 |
코성형 재수술, 보형물 단독사용보다 자가조직 같이 사용해야 (0) | 2013.06.11 |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이승철 편 (0) | 2013.06.10 |
고온 다습한 날씨에 ‘피부 건조증’이 웬 말? (0) | 2013.06.08 |
두통 심하면 목 디스크가 원인일수도 (0) | 201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