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취고 수악대 100년만에 잠깨다
조선후기 군영악대중 가장 규모가 컸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졌던 남한산성 취고수악대가 100여년 만에 재현될 길이 열렸다.
광주시 광지원농악보존회(광주시 무형문화유산 3호)가 지난 5월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에 남한산성 취고수악대 복원사업안을 제출한 결과 사업자로 선정되어 4천여만원에 달하는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게 된 것.
이에 광지원농악보존회는 이숙희(국립민속국악원) 이보형(한국고음반연구회장) 김정수(용인대) 이용식(전남대) 김문자(수원대) 민성기(경기대명고)를 중심으로 다음달 6일 남한산성 행궁 좌승당에서 남한산성 취고수악대 복원 및 재현을 위한 학술세미나를 8월 24일에는 워크숍을 개최해 복원사업의 학문적 토대를 다지고 6월부터 11월까지 단원들의 집합훈련 및 개인 기능을 연마해 9월 22일 남한산성 취고수악대 재현 공연을 시연할 계획이다.
이번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으로 선정된 남한산성 취고수악대란 취타악기 연주자로 구성된 조선후기의 군영악대로써 왕의 행차나 군대의 의식 대규모 행진 군사 훈련 지방 관아 향연 등에 쓰이며 태평소 나발 나각 등과 타악기인 꽹과리 징 북 바라 장구 등으로 이루어진 악대이다.
특히 궁중의 선전관청에서 연주되던 대취타에는 없는 대각 솔발 점자 등의 악기가 쓰였기 때문에 취고수악대의 복원은 조선후기 음악사 연구에도 큰 의미가 있다.
조선후기 문헌 『만기요람』에 따르면 남한산성 수어청에는 314명의 취고수악대가 편성되어 있었는데 이는 전국 군영악대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남한산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남한산성과 행궁 등 유형문화재의 복원과 더불어 이러한 무형문화재의 복원 및 재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재 등재에 큰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지원농악보존회 민성기 회장은 “광주는 앞으로 이번 취고수악대 재현사업을 발판으로 광지원농악 뿐만 아니라 남한산성 취고수악대 공연을 통해 서울 근교에서 최고로 각광받는 역사와 문화 탐방지가 될 것은 물론 새로운 전통문화예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내여성 中企 중국 바이어의 마음을 사로잡다! (0) | 2013.06.24 |
---|---|
[경기]안성시농업기술센터 우수농업기술센터로 선정 (0) | 2013.06.24 |
[경기]안성시 ‘전자본인서명확인서’ 시범운영 실시 (0) | 2013.06.24 |
[경기]양주시,수도요금을 줄이는 방법? (0) | 2013.06.24 |
[경기]양주시립교향악단 참신한 인재를 찾습니다 (0) | 2013.06.24 |
[경기]광주시 제11회 퇴촌토마토 축제 성료 (0) | 2013.06.24 |
[경기]양주시 노후 슬레이트 철거-처리사업 한창 (0) | 2013.06.24 |
[경기]광주시 2013년도 제2회 구인구직자 만남의 날 행사 개최 (0) | 2013.06.24 |
[경기]광주시 출산장려 홍보 캠페인 (0) | 2013.06.24 |
[경기]광주시보건소 광남초등학교 광주도평초등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0) | 201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