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9 선언, 엇갈리는 당사자들의 주장
1987년 6월 29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언론의 자유 등 8개 항목을 담은 선언문이 발표된다. 이른바 6.29선언이다. 이 선언은 시민과 학생에 의해 주도된 6월 항쟁 앞에 집권세력이 양보함으로써 이루어졌다.

6월 항쟁이 시작되던 날이자 동시에 민정당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열렸던 6월 10일,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는 도심 시위의 최루탄 가스 냄새를 맡으며 직선제 개헌을 결심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 하지만 전두환 대통령 측의 기록에 의하면, 시위가 한창이던 6월 15일 경, 전두환 대통령이 노태우 후보를 불러 직선제를 제안하자 노 후보가 반대했다고 한다. 이렇듯 양측의 상반된 주장은 26년이 지난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
■ 객관적인 사실과 증언으로 재구성해 보는 6.29선언의 진실
입장에 따라 시각과 기억이 다를 수 있는 당사자들의 증언만으로는 이 논란의 접점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객관적으로 드러난 사실과 함께 주변 인물들의 증언을 통해 6.29의 전말을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87년 6월 당시, 청와대 최측근과 군 수뇌부, 미 중앙정보부 실무자가 전하는 증언과 객관적으로 드러난 상황을 입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전두환 당시 대통령과 노태우 당시 대통령 후보 사이에서 진실은 무엇이었는지 밝혀 보고자 한다.

■ 직선제를 먼저 거론한 적 없다
6월 10일 이후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시위는 명동성당에서 출발해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되면서, 정부에서는 시국을 수습하기 위한 비상대책이 논의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노태우 후보는 6월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개헌 논의를 올림픽 이후에 하겠다고 밝혔고, 전두환 대통령은 6월 15일 즈음, 직선제를 건의한 민정수석에게 핀잔을 주기도 했다. 두 사람 모두 앞선 증언과는 달리, 이즈음까지만 해도 직선제 개헌에 대한 의사가 전혀 없어 보인다.

■ 직선제와 계엄령 사이, 흔들리는 선택
시위는 전국으로 확대 되고, 시위 상황이 세계 톱뉴스로 보도되기 시작했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 전 대통령은 6월 18일, 민정수석에게 노 후보가 직선제 개헌을 수용하도록 설득해 보라는 특명을 내린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인 6월 19일, 전 대통령은 군 관계자들을 소집한다. 당시 전달된 비밀문건에 의하면 실제 계엄령 수준의 준비명령이 내려졌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왜 전 대통령은 노 후보를 설득하라고 한 뒤, 그날 밤 계엄령을 준비했을까?
결국 이 명령은 시행 몇 시간을 앞두고 취소되었다. 미국 정부의 압력과 동시에 한국군 내부에서도 항명을 불사할 정도의 군 동원에 대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 직선제 수용을 둘러싼 수많은 의문들
남은 대책은 직선제를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 전 대통령과 노 후보의 측근들은 노 후보가 직선제에 대해 부정적이었다고 증언한다. 전 대통령의 거듭되는 직선제 권유에 계속 부정적인 자세로 일관하던 노 후보는 어떤 계기로 직선제를 받아들이게 된 것일까?
또 쿠데타 설까지 나돌던 한국군 내부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관망하던 미국정부가 적극적으로 군 동원을 반대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1987년 6월 당시 긴박하게 전개됐던 시국상황, 그 중심에 있었던 인물들의 증언을 통해 6월 항쟁과 6.29선언의 전 과정을 재조명해보고, 26년이 지난 지금 6월 항쟁이 우리에게 남긴 과제는 무엇인지를 생각해본다.
'방송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못난이 주의보], 아고라 게시판까지 진출...애청자 ‘응원’ 릴레이!! (0) | 2013.06.27 |
---|---|
[월드 챌린지-우리가 간다!] 백성현, 양털 포대 맨 날쌘돌이 (0) | 2013.06.27 |
[똑똑한 소비자리포트] 금융의 함정 소비자 기만하는 신용카드의 늪 (0) | 2013.06.26 |
[똑똑한 소비자리포트] 밥값보다 비싼 빙수? 수상한 빙수 가격! (0) | 2013.06.26 |
[똑똑한 소비자리포트] 2013 TV홈쇼핑의 현주소 (0) | 2013.06.26 |
2PM과 함께 하는 KBS World 테마송 1등 수상자 확정 (0) | 2013.06.26 |
<해투3-충격고백> 이재룡, 단기기억상실증에 걸린 적 있다. (0) | 2013.06.26 |
이훈, 첫사랑과 결혼은 도둑이 맺어준 것?! (0) | 2013.06.26 |
전미선, 이훈에게 JYP 공기반 소리반에 이은‘들숨날숨’연기학개론 (0) | 2013.06.26 |
최효종 깜짝 발언, 도지원 덕분에 개그맨 결심?! (0) | 201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