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 혼합사용으로 부작용 증가 우려 있는 식품도 53%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판매식품 10개 중 7개 타르색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앞 그린푸드존에서 판매되는 상당수의 식품에 어린이 행동과 주의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타르색소가 함유되어 있고, 비만 등 건강을 위협하는 고열량·저영양 식품이 많아 어린이와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수도권 30개 초등학교 앞 그린푸드존에 소재한 문구점 등에서 판매되는 캔디, 과자 등 100개 식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73개 제품에서 타르색소가 검출됐다.
(표)타르색소 사용 현황

특히 어린이들의 섭취빈도가 높은 껌류 15개 중 3개 제품에서 어린이 기호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적색102호 색소가 검출되었다. 하지만 껌은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지정되지 않아 제재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타르색소는 개별 사용보다 혼합 사용 시 부작용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2개 이상의 타르색소가 사용된 제품도 53개에 달했다.
또 한국소비자원이 30개 제품에 대한 타르색소 함량(정량)을 시험한 결과에서는 4개(13.3%) 제품에서 황색5호와 적색102호가 유럽연합(EU)의 허용기준치를 많게는 2배까지 초과 검출됐다.
해당 색소는 EU에서 ‘어린이의 행동과 주의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문을 표시해야 하는 색소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유럽연합 등과 달리 타르색소 사용이 가능한 식품만을 지정하고 있을 뿐 사용할 수 있는 양(함량)을 별도로 규제하고 있지 않다.
어린이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를 유발하는 등 타르색소의 안전성에 대한 다양한 논란이 국내외에서 지속되고 있는 만큼 어린이 기호식품에 타르색소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이외에도 그린푸드존 판매식품의 44.7%가 어린이 건강에 해로운 고열량·저영양 식품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국내 전체 어린이 기호식품 중 구성비(21.3%)보다 2배나 많아 그린푸드존의 의미가 무색한 상황이다.
그린푸드존에서 고열량·저영양 식품을 판매하지 않는 우수판매업소(1,904개) 수는 전체 판매업소(42,996개)의 약 4%에 불과하고 이 또한 대부분 학교 내 매점임을 감안하면, 어린이들이 학교를 벗어나는 순간 고열량·저영양의 불량식품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린푸드존 전담 인력은 ‘09년 법 제정 당시 보다 오히려 27.8%나 감소하였고, 지자체 마다 기준을 벗어난 안내 표지판을 설치·운영하는 등 관리 실태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식품안전 확보를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에 타르색소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일반식품에 식용 타르색소의 사용 금지를 확대하는 한편 허용(함량) 기준을 마련하고 ▴그린푸드존의 운영관리를 강화할 것 등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할 예정이다.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피엔케이 제조 4개 제품 판매금지 회수 조치 (0) | 2013.07.16 |
---|---|
정흥원 국무총리, 식약처에 식품안전 관리 강화 지시 (0) | 2013.07.16 |
밥에 뿌려먹는 가루 “인체유해성은 없어” (0) | 2013.07.15 |
미국산 돼지고기, 유럽산 햄 등 안전 (0) | 2013.07.15 |
식약처, 밀그린식품 냉면 제품회수 조치 (0) | 2013.07.12 |
식약처, 아기 분유 이유식 유해물질 관리 강화 (0) | 2013.07.04 |
식약처, 한중식품 과자제품 유통·판매 중단 회수조치 (0) | 2013.07.03 |
미국산수입 밀·밀가루,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 검출안돼 (0) | 2013.07.02 |
식약처, 해광식품 제조 12개 빵류 유통·판매 중단, 회수조치 (0) | 2013.07.01 |
CJ제일제당·대상·사조그룹, 수입은 하지만 GMO 표시는 0%? (0) | 201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