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연예

[KBS 파노라마]아자리아의 아리랑

우리나라와는 국교가 없는 쿠바 출신 유학생 1호 아자리아 임.
한남대학교 린튼글로벌칼리지에 다니고 있는 그녀는 쿠바 한인 4세.
아자리아의 가족사를 통해 쿠바 한인이민사를 알아본다.

 


◆ 국립현충원에서 만난 증조할아버지
대전국립현충원에는 아자리아의 증조할아버지(임천택)의 묘소가 있다.

한국에서 태어나 쿠바에서 생을 마친 증조할아버지의 무덤은 왜 이곳에 있는 것일까.

증조할아버지의 삶을 추적하는 아자리아의 동선을 통해 쿠바한인 이민자들의 삶을 재구성해 본다.
 
6-23.jpg

◆ 사기 당한 이민
1905년 아자리아의 증조할아버지는 3살의 어린 나이로 홀어머니의 품에 안겨 멕시코 이민 길에 오른다.
 
그러나 멕시코 유카탄의 에네켄 농장엔 노예와도 같은 생활만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일본 이민회사와 브로커 마이어스의 사기극이었던 것이다.
 
6-24.jpg

◆ 가장 고단하고 외로웠던 이민자들
아자리아의 증조할아버지는 노예와도 같은 멕시코 생활을 견디고 1921년 쿠바로 재 이주한다. 하지만 그곳에서의 삶도 녹록치 않았다.

일제 강점기에는 힘없는 조국을 원망하고 때로는 도우며 견뎌야 했고, 쿠바혁명 후에는 남한과 철저히 단절되어 어떤 도움도 받지 못했다.

하물며 쿠바와 수교국인 북한도 그들을 외면하긴 마찬가지였다.

◆ 쿠바의 한인들, 그들의 정체성은
쿠바의 한인들은 살아남기 위해 현지에 철저히 동화되어야 했다.

3세대 이후는 한국어도 모두 잊었다. 하지만 그들의 마음 한 구석에는 자신들이 한민족의 일원이라는 의식도 공존하고 있다.
 
6-25.jpg

◆ 아자리아의 아리랑
증조할아버지의 삶을 통해 자신의 뿌리와 역사를 알게 된 아자리아 임.

그녀는 할아버지의 조국일 뿐이었던 한국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불완전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중이다. 쿠바인 아자리아의 아리랑은 이제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