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올드 힙합 키드]의 줄거리
이루지 못 한 내 꿈을 위해, 마이크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
열여섯, 마이크로폰을 든 MC(Mic Checker)를 꿈꾸던 나 (감독).
이루지 못 한 내 꿈을 위해, 마이크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
열여섯, 마이크로폰을 든 MC(Mic Checker)를 꿈꾸던 나 (감독).
스물여섯, 메가폰을 든 MC(Move the Crowd)를 꿈꾸며 마이크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 10년 전 함께 했던 힙합키드들은 지금 무얼 하며 살고 있을까?
언더그라운드 힙합씬에서 꽤 인기 있는 랩퍼, 허클베리 피와 JJK, BK Block과 함께 ‘투게더 브라더스’를 결성하여 첫 앨범을 준비 중인 지조, 지금처럼 음악하며 사는 것이 꿈이라는 DJ 샤이닝 스톤, 바쁜 직장생활 속에서도 디리그 (D-League) 앨범을 준비 중인 현우,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지훈과 공대 대학원생이 된 기현까지! 각자의 마음속에 자신만의 HIPHOP을 담은 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펼쳐진다!
[투 올드 힙합 키드]아프니까 청춘이다? 우린 ‘행복’하고 싶다!
꿈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하는 풋풋한 위로!
공감 100% 청춘 다큐
‘공감 100% 청춘 다큐’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8월 31일 KBS1TV [독립영화관] 방영을 앞두고 있는 <투 올드 힙합 키드>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을 안고 현실을 살아가는 20대 청춘들의 고민을 가감 없이 담아낸 다큐멘터리.
한 때 래퍼를 꿈꾸었지만 지금은 영화감독을 꿈꾸는 감독 스스로의 고민을 바탕으로, 래퍼로, 공무원 준비생으로, 대학원생으로, 회계사로,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청춘’이라는 소재는 영화는 물론, 다양한 매체에서 무수히 많이 다뤄진 것이 사실. 갖은 어려움 속에서도 뜨거운 열정과 패기로 꿈을 향해 달려가는 열혈청춘(熱血靑春)의 모습에서부터,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과 현재 사회에 대한 불만으로 점철된 반항아 이미지, 예민한 감성으로 자그마한 자극에도 부서질 것 같은 불안한 모습 등이 기존 매체에서 주로 보여주었던 ‘청춘’의 이미지들이다.
최근에는 ‘88만원 세대’로 통칭되는 20대 담론이 확산되면서, 20대 스스로의 우울한 자화상이 담긴 작품들, 그리고 ‘88만원 세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도록 시스템화 된 현재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담긴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서울독립영화제에서의 첫 상영 당시 우수작품상과 관객상을 동시 수상함은 물론,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도 관객상을 수상하는 등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것은 <투 올드 힙합 키드>가 획일화된 ‘청춘’의 모습에서 벗어나, 20대들의 실제 모습과 가장 맞닿아 있기 때문.
‘난 음악을 사랑해. 하지만 돈도 사랑해’라고 외치는 주인공 ‘지조’의 대사는 현재 20대들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꿈을 쫓는다고 해서, 불안한 삶을 좋아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라는 정대건 감독의 대사는 꿈과 현실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청춘들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낸다.
또한 ‘래퍼’라는 꿈을 함께 꾸었지만 각자의 가슴 속에 ‘힙합’이라는 열정을 지닌 채,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청춘군상들을 카메라에 담음으로써, ‘꿈을 이루기 위한 고난의 시간’이 중요한 것이라 아니라, 어떠한 형태로든 ‘행복을 추구하는 그 시간’이 가장 푸르른 시절이라는 단순한 명제를 되새기게 한다.
젊은이들에게는 앞으로의 삶에 대한 희망을, 중장년층에게는 깊이 묻어 두었던 꿈에 대한 위로를 얻는 ‘세대별 감상’이 가능한 것은 이러한 이유가 아닐까.
[투 올드 힙합 키드]진정한 ‘힙합’이란 이런 것!
Indie - ROCK 씬에 <반드시 크게 들을 것>이 있다면,
Indie - HIPHOP 씬에는 <투 올드 힙합 키드>가 있다?
‘아마 우린 안 될 거야’라는 대사로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었던 CRAZY 로큐멘터리 <반드시 크게 들을 것> (연출 백승화┃출연 갤럭시 익스프레스, 타바코 주스┃2009년작)이 인디밴드들의 리얼한 세계를 보여주었다면, <투 올드 힙합 키드>는 언더그라운드 힙합 씬을 생생하게 보여줄 예정.
현재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허클베리 피, JJK, 투게더 브라더스, DJ 샤이닝 스톤이 주인공으로 등장할 뿐 아니라, 타이거 JK, 가리온, 바스코 등이 까메오로 출연하여 힙합 팬들을 설레게 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홍대 클럽에서의 공연, 길거리 공연, 프리스타일 랩 배틀 장면들은 물론, 실제 어떻게 곡을 만드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가사가 완성되는지, 앨범 녹음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등 음악작업의 전반적인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힙합문화에 대한 관심이 없는 이들에게도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투 올드 힙합 키드>가 ‘힙합’이라는 음악장르에 대한 편견을 상쇄하고, 그것이 지닌 가치를 보다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게 한다는 것.
‘힙합은 크게 마음먹고, 끊임없이 덤비고, 끝까지 싸우고, 결국에는 쟁취하는 것’이라는 주인공 ‘JJK’의 말은 힙합이 단순한 음악장르로서의 역할을 넘어, 삶을 대하는 하나의 태도임을 깨닫게 한다.
무대 대신 직장을 배경으로, 마이크 대신 카메라를 들고, 각자의 삶 속에서 새로운 열정을 쏟아 붓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힙합’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더욱 명확히 한다. 주류 매체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힙합 씬을 마주하게 함과 동시에, 힙합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선사하는 <투 올드 힙합 키드>는 힙합에 대한 애정이 없었다면 완성할 수 없었던(!) 진정한 ‘힙합 영화’이다.
[투 올드 힙합 키드]‘힙합’! 이것은 우리 모두의 BGM!
재기 발랄한 나레이션, 주제를 응축한 랩 가사!
보는 재미에, 듣는 재미를 더 했다!
이것은 우리 모두의 BGM!
‘힙합’을 소재로 한 영화인만큼, <투 올드 힙합 키드>에는 다양한 음악이 등장한다. 주인공인 허클베리 피, 투게더 브라더스, JJK, DJ 샤이닝 스톤의 음악을 비롯, 다양한 힙합 음악들이 영화를 보다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정대건 감독이 직접 작사한 자작 랩과 한 편의 랩 가사를 연상케 하는 재기 발랄한 나레이션들은 다큐멘터리 장르에 익숙치 않은 관객들 또한 쉽게 영화에 몰입할 수 있게 한다. 한 때 래퍼를 꿈꾸었던 리얼 ‘힙합키드’인 정대건 감독의 감각적 스타일이 녹아 있는 작품이 바로 <투 올드 힙합 키드>인 것!
?‘걱정돼’ By 정대건 감독
어제도 새벽까지 촬영하고 밤새고 외박하고
엄마가 싫어하는 생활들이 반복돼
주홍이형의 웃는 얼굴이 날 반기고
촬영장비들로 어지럽혀진 내 방 풍경
일 년 전만해도 난 그저 취업 준비생 / 이제 완벽히 바뀌어버린 생활패턴
엄마와 누나가 출근한 시간 / 홀로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나
하루 종일 편집해 엄마가 퇴근할 때까지
이런 생활들에 이제 익숙해져야겠지?
나 하루에도 수 십 번씩 스스로 되물어
너 정말 앞으로 이런 길을 갈 수 있겠어?
엄마가 차려놓은 밥상과 남긴 메모가 / 내 가슴을 아프게 해 이기적인 나
심장이 뛰는 삶 난 정말 행복하지만 / 솔직히 한편으론 불안하고 걱정돼
영화감독이라는 새로운 꿈을 이뤄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안함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는 ‘걱정돼’에서 알 수 있듯, 주인공들의 심정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BGM들은 영화의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수능 전까진 제대로 듣고, 보고, 말하지도 못하는 헬렌 켈러들. 대학을 졸업해도 여전히 듣고, 보고, 말하는 게 어려운 헬렌 켈러들’이라는 ‘Pish’ (by 피노다인)의 가사는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제대로 알지 못 하는 현재 대한민국 청춘들의 삶을 연상케 하며, ‘죽긴 젊기에 미래 있기에 고민의 늪에 발을 빼 gonna be alright’이라는 ‘청춘의 소리’ (by 투게더 브라더스) 가사에서는 수많은 고민들 속에서도 열정을 잃지 않고 꿋꿋이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삶을 발견할 수 있다.
단순히 ‘백 그라운드 뮤직’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게 하는 특별한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
[투 올드 힙합 키드]‘힙합’을 통해 이젠 ‘열정’만큼 ‘행복’이 필요한 때!
슈퍼스타 K 4, Show Me the Money, 도.수.코 3 등 오디션 열풍!
꿈을 이루기 위한 청춘들의 ‘고군분투’를 향한 전국적 관심!
슈퍼스타 K 4, Show Me the Money, 도.수.코 3 등 오디션 열풍!
꿈을 이루기 위한 청춘들의 ‘고군분투’를 향한 전국적 관심!
<투 올드 힙합 키드>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열정을 얻는 이들에게 또 다른 에너지를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떤 어려움이라도 헤쳐 나가야 하는 팍팍한 삶이 아니라, ‘행복한 삶’을 위해 정진하는 주인공들의 모습 속에서, 그 어떤 위로의 말보다 가슴 벅찬 희망을 얻게 되는 것.
더 나아가, 돈 걱정, 불안한 미래 걱정 등 마냥 행복할 수 없는 상황을 쿨(cool)한 척, 아무렇지 않은 척 넘기지 않고, ‘걱정돼’, ‘불안해’를 외치는 주인공들의 모습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찌질’할 수밖에 없는 우리 모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주는 위로는 당연히 어마어마할 것! <투 올드 힙합 키드> 속에서 묘한 위안을 얻게 되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에서이다.
[투 올드 힙합 키드]관객들이 미리 ‘찜’한 화제작!
서울독립영화제 우수작품상 & 관객상 동시 수상!
인디다큐페스티발 관객상 수상!
상상마당 음악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EBS 국제다큐영화제 초청 상영!
관객들이 미리 ‘찜’한 화제작!
2012년 상반기는 그 어느 때 보다 다큐멘터리 작품들이 빛을 발했던 시기였다.
故 정기영 건축가의 마지막 삶을 다룸으로써 잔잔한 감동을 선사했던 <말하는 건축가> (연출 장재은)와 아시아 최초로 ‘암스테르담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화제를 모았던 <달팽이의 별> (연출 이승준)이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으며, 2009년 1월 발생한 ‘용산참사’를 경찰 특공대원의 시선으로 재구성하여 주목 받은 <두 개의 문> (연출 김일란, 홍지유)은 관객수 7만을 동원하여 2012년 독립영화 흥행기록을 갱신함과 동시에, 역대 독립영화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다양한 스펙트럼의 다큐멘터리 작품들이 저마다의 매력으로 관객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
이러한 다큐멘터리 열풍을 <투 올드 힙합 키드>가 이어받는다. 2011년, ‘제 37회 서울독립영화제’에서의 첫 상영 당시 우수작품상과 관객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단번에 화제작으로 떠오른 <투 올드 힙합 키드>는 ‘제 12회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도 관객상을 수상하여 높은 인기를 체감했으며, 이후 ‘제 5회 KT&G 상상마당 시네마 음악영화제’, ‘제 14회 정동진 독립영화제’, ‘제 8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 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에서 연달아 상영되며 주목 받았다.
이처럼 작품성과 대중성을 고루 검증 받은 <투 올드 힙합 키드>에 대한 지지와 관심은 자연스레 개봉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며 일찌감치 개봉 계획에 대한 물음이 쇄도했다.
8월 31일 KBS1TV [독립영화관]을 통해 시청자들을 만날 예정인 <투 올드 힙합 키드>는 보다 신선한 작품을 기대하는 다큐멘터리 고정 관객층의 호응은 물론, 다큐멘터리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의 마음 또한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투 올드 힙합 키드]영화제 상영 및 수상 내역
제12회 인디다큐페스티발 관객상/국내신작전 (2012)
제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한국다큐멘터리파노라마 (2012)
제8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한국음악영화의 오늘 : 장편 (2012)
제14회 정동진독립영화제 (2012)
제5회 KT&G 상상마당시네마음악영화제 음악영화신작전 (2012)
제37회 서울독립영화제 우수작품상/관객상
'방송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WORLD[A Song For You]전 세계 엑소 앓이 댄스 열풍의 현장 어송포유! (0) | 2013.08.29 |
---|---|
KBS WORLD[A Song For You] 조권 원더걸스 선예 결혼식장에서 ‘날 떠나지마’ 열창?! (0) | 2013.08.29 |
[걸어서 세계속으로]역사와 예술의 거리를 걷다 (0) | 2013.08.29 |
[꽃보다 할배] VS [마마도]! 할배와 할매의 차이? No! (0) | 2013.08.29 |
엄마가 있는 풍경 [마마도] 대한민국 대표 여배우 4인 (0) | 2013.08.29 |
[한국인의 밥상]해발 1000미터의 진수성찬 - 고랭지 밥상 (0) | 2013.08.29 |
이천희·전혜진 부부, [코이카의 꿈]최초로 연예인 부부봉사단으로 합류! (0) | 2013.08.28 |
인도네시아의 한류 프린스 이루, [2013 코이카의 꿈] 합류! (0) | 2013.08.28 |
박보영, 이천희, 전혜진 부부, 이루, 이홍렬 연예인 봉사단으로 [MBC특별기획 2013 코이카의 꿈] 인도네시아팀 합류, 8월 29일 출국! (0) | 2013.08.28 |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쌈디 전 여친 레이디제인, 바이브의 ‘미워도 다시 한번’선곡한 이유는? (0) | 201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