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판 손상, 신체 변형이나 작은 키 원인 될 수 있어 조기 치료 중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모(8)군은 방과 후 놀이터에서 친구들과 놀다가 넘어져 다리가 골절되는 중상을 입었다. 곧바로 병원을 찾았지만 단순한 골절이 아닌 성장판까지 손상돼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최근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에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운동이나 놀이를 하다 골절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넘어지는 순간 무심코 손목을 짚으면서 손목이 골절되거나 완충 작용 없이 넘어질 경우 팔꿈치, 발목 주위 등이 골절되는 일이 많다.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의 사고로 뼈가 부러질 때 심하면 성장판이 손상되거나 뼈는 멀쩡한데 성장판만 손상되는 경우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성장판은 뼈 사이의 연골이므로 외부로부터 조그만 충격이 있어도 쉽게 손상을 입는다. 전체 어린이 골절의 20%는 바로 성장판 골절이다. 가벼운 성장판 손상의 대부분은 후유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지만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명적인 장애가 올 수 있다.
성장판이 다칠 경우 다친 부위의 뼈만 성장이 멈춰버려 특정 부위의 뼈 길이가 짧아지게 되거나 팔과 다리의 양쪽 길이가 달라지면서 다치지 않은 부위의 관절도 한쪽으로 휘어지는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할 경우 허리까지 휘는 전신 기형으로 발전할 수 있다.
대부분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아이들이 넘어져 다치면 골절이 아닌 이상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심하게 넘어졌거나 통증을 계속 호소한다면 꼭 골절이 아니더라도 성장판 손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어린이가 골절 후 성장판이 손상되는 등의 부작용은 초기에 확진이 어렵기 때문에 골절 치료가 다 되었어도 최소 2년까지는 3~4개월에 한번씩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청담튼튼병원 신정연 원장은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어린이 골절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뼈는 어른보다 훨씬 쉽게 붙지만 성장판 손상을 가져 올 수 있어 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골절 이후 성장장애 여부는 골절 당시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치료가 되었더라도 적어도 2~3개월은 꾸준한 검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1369322151
'칼럼/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창궐 ‘슈퍼결핵’ 제대로 알고 대처하자 (0) | 2013.05.29 |
---|---|
껌 씹으면 집중력 향상, ‘사각턱’ 예방은 10분 이내로 (0) | 2013.05.29 |
포털사이트 ‘손목 혹’ 상담글 6천건…손목결절종 두려워 마세요 (0) | 2013.05.28 |
수은체온계 안전주의보…최고의 대처는 구입안하기 (0) | 2013.05.28 |
살인진드기 예방법은…피하는 게 상책 (0) | 2013.05.27 |
선천기형 원인과 예방법 (0) | 2013.05.26 |
척추미세골절 방치시 ‘꼬부랑 허리’ 신세 (0) | 2013.05.24 |
금연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4D를 기억하라’ (0) | 2013.05.24 |
데오드란트, 잘못 사용하면 피부에 독? (0) | 2013.05.24 |
샌들의 계절, 신발 접촉성 피부염 주의해야 (0) | 201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