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티스토리에 포스팅노바티스, 미국종양학회-유럽혈액학회서 170편의 주요 연구 데이터 발표

노바티스.jpg

 

최근 개최된 권위 있는 국제 학회 두 곳에서 170건의 논문 초록을 바탕으로 노바티스 항암신약의 최신 연구결과들이 소개됐다. 

이번 발표를 통해 노바티스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종양 및 혈액계 질환 부분의 광범위하고 선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와 파이프라인을 보여줬다.

제49회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연례회의에서는 노바티스 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의 최신 임상 결과와 함께 LDK378과 같은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제18회 유럽혈액학회(EHA, European Hematology Association) 연례회의에서는 자카비(성분명: 룩솔리티닙), 타시그나 등의 임상연구결과가 소개됐다.

노바티스 항암제사업부 어베 호페노트(Hervé Hoppenot) 사장은 “노바티스는 25개의 신규 분자물질 파이프라인 연구를 필두로 항암제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에 발표된 임상연구결과들은 여러 난치성 암의 원인 경로를 표적하여 가장 적절한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노바티스의 고도의 맞춤형 접근 방식의 연구개발 성과를 보여준 것이다”고 전했다.

ASCO와 EHA에서 소개된 주요임상연구는 다음과 같다.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타시그나의 장기 연구결과
만성기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Ph+ CML) 환자 중 2년 이상 글리벡(성분명: 이매티닙)으로 치료한 후에도 잔여 질환이 남아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타시그나의 스위칭 요법을 평가한 ENESTcmr 임상의 2년 추적 관찰 결과(ASCO/EHA).

새롭게 진단된 만성기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타시그나와 글리벡의 분자학적 반응률을 평가한 ENESTnd 임상의 4년 데이터 업데이트(ASCO/EHA).

새롭게 진단된 만성기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분자학적 반응률과 장기 치료 결과의 상관성을 평가한 ENESTnd 임상의 주요 데이터(ASCO).

타시그나를 1차 치료제로 5년 간 투약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높은 분자학적 반응의 지속성을 평가한 GIMEMA 임상의 2상 연구 결과(EHA).

◆골수섬유증 환자에서의 자카비의 생존율 분석 결과
자카비의 전체생존기간(OS) 이점과 비장크기 감소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한 COMFORT-II의 3상 임상 결과(EHA).

골수섬유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카비의 골수 섬유화 억제 효과를 최초로 확인한 2상 임상 연구의 24개월/48개월 데이터(ASCO/EHA).

◆전이성 신경내분비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산도스타틴 라르(Sandostatin® LAR®)의 PROMID 연구 생존율 데이터 (ASCO 발표)
전이성 신경내분비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산도스타틴 라르 디포(주사용 옥트레오타이드 아세트산)를 투여하여 전체생존기간(OS)을 평가한 PROMID 임상의 추적 연구 결과

또 신약물질로 전이성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표적치료제인 LDK378에 대한 최초의 인체적용 임상연구 결과가 업데이트 됐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난치성 및 생존을 위협하는 중증질환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LDK378을 혁신적 치료 약물로 선정됐다.

그 외에 소개된 신약후보물질 포트폴리오에는 흑색종, 유방암 등 고형암종 치료를 위한 LGX8187, BYL71, MEK 16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