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 톡! 톡! 힐링 캠프’ 참가자 모집
한국자살예방협회와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영헬스-청소년을 위한 생명사랑 캠페인’의 일환으로 오는 26일 서울시립 보라매청소년수련관에서 ‘오감 톡! 톡! 힐링 캠프’를 진행한다.
이와 관련해 오는 19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
보라매 청소년 수련과 생명사랑센터와 함께 10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오감 톡! 톡! 힐링 캠프’는 청소년들이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 오감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생명과 자신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위해 기획됐다.
이 프로그램은 ‘생명사랑 활동’, ‘오감..그리고 우리들의 이야기’를 테마로 다양한 체험형태로 진행된다.
‘생명사랑 활동’에서 학생들은 생명사랑 OX 게임, 생명나무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놀이처럼 즐기며 생명의 소중함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 생명사랑 7대 선언문 선서를 통해 자신과 삶의 소중함에 대한 새로운 마음가짐을 다진다.
‘오감.. 그리고 우리들의 이야기’에서는 감정표현에 서툰 청소년들이 색깔(시각), 소리(청각), 냄새(후각), 음식(미각), 편안한 공간(촉각)을 오감으로 체험하고 느낀 감정들을 함께 공유, 소통하며 자신의 감정과 친해지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한국자살예방협회 안용민 회장은 “부모나 가족, 친구에게도 고민을 털어놓지 못하는 ‘소통의 단절’, 타인의 아픔과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공감 부족’이 청소년 정신건강과 자살 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며, “이번 캠프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타인과 함께 나누는 소통하는 법을 배우며, 생명의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캠프를 후원하는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유선미 이사는 “이번 캠프가 학생들이 또래 친구들과 오감으로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는 ‘힐링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더 건강한 내일을 위한 파트너십(Health Connects Us All)’을 추구하는 기업이념에 따라 앞으로도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은 한국자살예방협회 홈페이지(www.suicideprevention.or.kr)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이메일(kasp2005@hanmail.net)로 접수하면 된다.
캠프 참가비는 1만원이며, 참가자는 자원봉사활동 3시간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영헬스-청소년을 위한 생명사랑캠페인’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전세계 청소년들의 건강 문제를 조명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진행하는 글로벌 사회공헌프로그램인 ‘영헬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캠페인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이를 막을 수 있는 제도와 인식이 부족한 점에 착안하여, 2011년 9월 한국자살예방협회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희망터치 홈페이지, 청소년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총 1,111명의 청소년 게이트 키퍼를 양성했다.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천시 새주소 도로명판이 빛난다 (0) | 2013.07.18 |
---|---|
레스틸렌 국내 출시 후 최고 매출 달성…상반기 112억 돌파 (0) | 2013.07.18 |
배우자 잇몸질환 경험 인지율 33%…부부간 상대방 잇몸병 관심 부족 (0) | 2013.07.16 |
식약처, 의약외품 유통-판매 질서 확립 교육 개최 (0) | 2013.07.15 |
국내 의료진 주도 다국가 3상 임상 시험 CLASSIC연구 최종 결과발표 ‘눈길’ (0) | 2013.07.15 |
노바티스 ‘루센티스’,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치료제로 EU 승인 권고 (0) | 2013.07.04 |
국내개발 20번째 신약‘듀비에정’허가 (0) | 2013.07.04 |
㈜휴온스, 비오신코리아 셀레나제 독점 판매계약 체결 (0) | 2013.07.03 |
한국로슈진단-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임신성 당뇨병 교육프로그램 공동 개발 (0) | 2013.07.03 |
프리베나13, 6-17세 적응증 확대 승인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