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들 성명서, 의협회장 적극 해명나서
시도의사회장들이 “의협회장이 독선적 결정을 내린다”며 성명서를 통해 강하게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노환규 회장이 적극 해명에 나섰다.
◆“토요가산제와 연계된 만성질환관리제 반대한다”
전국시도의사회장협의회(이하 시도회장협)는 지난 23일 서울역에서 16명의 회장 중 임수흠 서울시의사회장, 황인방 대전시의사회장, 송후빈 충청남도의사회장 등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회동을 갖고, 3시간이 넘는 논의 끝에 만성질환관리제 반대를 포함한 3개항의 성명서를 채택했다.
시도회장협은 성명서를 통해 “토요가산제와 연계된 만성질환관리제와 비급여 정보공개 등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의협 노환규 회장의 회무 운영방식에 대해서도 “그동안 협회장의 비민주적, 독선적 의사 결정 과정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절차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한 회무집행을 촉구한다”고 했다.
지난 22일 오후에 열린 대의원회 운영위원회에서도 노 회장의 리더십에 대한 문제제기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의협 이사’라는 익명의 사람이 보낸 이메일로 인해 논란이 된 ‘유헬스(원격의료) 도입’에 대해서는 “정부가 시도하려는 원격의료는 절대 반대다. 복지부는 향후 보건의료정책 결정시 국민건강을 위한 의료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정도로 마무리됐다.
◆“회원들이 반대하는 만성질환관리제 시행은 결단코 없을 것”

이와 관련해 대한의사협회 노환규 회장은 지난 24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회원들이 반대하는 만성질환관리제 시행은 결단코 없을 것이다”며 해명에 나섰다.
즉 회원들이 찬성하고, 정당한 수가를 받아 경영에 도움이 되는 만성질환관리제만 수용할 방침이라는 것.
만성질환관리제 활성화가 토요휴무가산 확대 부대조건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도 노 회장은 “그렇지 않다”며 “정부가 토요가산 확대를 그냥 줬겠느냐는 생각과 정부에 대한 불신,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에 의해 의혹이 커졌지만 만성질환관리제가 토요가산 확대의 부대조건은 아니다”고 분명히 말했다.
만성질환관리제를 반대했었는데 거꾸로 제안하는 입장으로 바뀌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가 주도하는 변형된 만성질환관리제를 반대한 것이고, 전국의사총연합 대표 시절 의협 마당에서 단식투쟁을 할 때도 제도 자체는 찬성하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변형된 제도를 반대했다”며 “이것은 일관된 입장이었고, 지난해 의협이 전국시도의사회에 배포한 자료에도 분명히 나와 있다”고 밝혔다.
토요휴무가산과 연계한 만성질환관리제를 반대한다는 시도의사회장협의회에 성명에 대해서도 “여전히 오해가 있는 것 같다”며 “정부가 만성질환관리제를 통해 의료계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 당연히 반대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시도의사회장들에게 ‘의협 이사’라며 익명의 메일을 보낸 사람에 대해서는 “현직 상임이사는 아니다. 이번 주 안에 법적 조치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의원회 변영우 의장은 “그동안 의협은 만성질환관리제를 반대하는 것으로 인식돼 왔는데 갑자기 독소조항만 빼면 받아들일 수 있다는 얘기를 함에 따라 토요휴무가산제 시행에 부대조건이 붙는 것으로 인식돼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조만간 대의원회의 입장을 정리해 발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의협은 오는 9월까지 의원급 의료기관이 중심이 되는 시범사업 모형을 만들어 정부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에 제안하기 전 해당 진료과목 의사회를 중심으로 각 지역 및 직역의사회와 충분한 토의를 거쳐 의협안을 만든다는 생각이다.
노 회장은 “이런 절차를 통해 회의들의 오해를 풀고 의원급 의료기관이 중심이 되는 모델을 만든다면 회원들의 찬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병원-대학실험실’124곳 불법폐수배출 적발 (0) | 2013.07.20 |
---|---|
전의총 “약사회 석고대죄하라” (0) | 2013.07.12 |
무허가 다이어트 한약 판매 한의사 검찰 불구속송치 (0) | 2013.07.04 |
“홍준표 지사의 진주의료원 폐업 강행은 위법” (0) | 2013.07.03 |
검찰, 세브란스병원 박모 교수 소환조사…허위진단서 의혹 (0) | 2013.06.28 |
“앞으로 의사들이 임플란트시술 하겠다” (0) | 2013.06.19 |
뇌종양 현역사병 사망의 진실은?…군의관 책임없다는 3대 근거 (0) | 2013.06.19 |
포괄수가제 확대 시행…산부인과도 조건부 ‘수용’ (0) | 2013.06.18 |
진주의료원 폐업 논란…복지부-국회 vs 경남도지사 (0) | 2013.06.16 |
검찰, 세브란스병원 압수수색…박모 교수 소환조사 임박 (0) | 2013.06.14 |